작년 말에 구입한 CDS Astro 80D에 대해서 썰을 풀어볼까 합니다. Astro 80D는 캐논 80D를 천체촬영용으로 개조한 제품입니다. 국내 업체인 CentralDS에서 개조하고 판매하는 제품이라 수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겠습니다. 신뢰도 가구요. 실제로 밴딩 노이즈 문제로 사장님과 전화로 대화를 나누면서 카메라를 두어 번 주거니 받거니 했습니다. 해외라면 쉽지 않았겠지요. 단점이라면 주문 후에 수령까지 4-5주가 걸린다는 점인데 월령에 따라 호흡이 긴 별지기분들에겐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취미 생활에 서두를 것이 뭐 있겠습니까. 천체촬영용으로 개조한다는 것은 카메라에 내장된 필터 중 하나를 제거한다는 것과 상통합니다. 붉은빛에 대한 투과율을 낮추는 기능을 하는 필터로 대부분의 DSLR..
픽스인사이트(PixInsight)는 천체사진 후처리에 주로 사용되는 이미지 프로세싱 소프트웨어로 각기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프로세스'들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타깃 이미지에 프로세스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해 나가면서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됩니다. 픽스인사이트를 사용해서 원샷-컬러(OSC) 천체사진을 처리하는 기본적인 방법에 대해 정리해볼까 합니다. 어떤 프로세스들이 어떤 순서로 적용되어야 하는지 간략한 이유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망각 방지용 메모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각 프로세스의 사용법은 다루지 않습니다. 저는 천체사진 전처리(Registering, Stacking)에 DeepSkyStack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ixInsight를 통한 전처리 설명..
밤하늘 공부를 막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망원경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광학 망원경들은 빛을 모으는 방식에 따라 굴절 망원경(Refractors)과 반사 망원경(Reflectors)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빛을 모으는 원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굴절 망원경은 렌즈를 통과할 때 빛이 휘는 성질을 이용하며, 반사 망원경은 오목한 형태의 거울에 빛을 반사시켜서 한 곳에 모으게 됩니다. 굴절과 반사 말고 다른 방법으로 빛을 모을 수 있다면 새로운 망원경 개발이 가능합니다. 굴절과 반사를 둘 다 사용하는 카타다이옵트릭(Catadioptric) 망원경도 존재합니다. 어디나 혼종은 있게 마련이니까요. 복합 경통 혹은 반사-굴절 망원경이라고도 불리는 카타다이옵트릭 망원경에 대해서도 뒤에서 짧게 ..
천체사진에 미니어처 효과를 주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은 3가지만 명심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1. 과감한 크롭을 통해 원근감 있는 구도를 만들자. 2. 이미지 내에서 명암 변화를 통해 원근감을 살리자. 3. 별들이 모래 알갱이처럼 보이도록 보정하자. 과감한 크롭을 통해 원근감 있는 구도를 만들자. 효과가 잘 먹을만한 대상을 잘 정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크롭을 통해 원근감 있는 구도를 잘 잡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안드로메다은하 같은 경우에는 위쪽과 아래쪽 여백을 충분히 주고, 좌우 여백은 확실히 좁게 가져가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 같습니다. 천체사진 찍으시는 분들 중에는 소중하게 얻은 넓은 화각이 잘려나가는 것을 꺼려 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그렇지만 미니어처 효과를 주려고 하신다면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