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초점 굴절망원경으로 바라본 목성
- Astronomy / Gallery
- 2020. 1. 27. 01:38
목성은 달이나 토성처럼 표면을 직접 관측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천체 중에 하나다. 100배, 200배.. 확대를 거듭하면 별상이 점점 커져서 그 표면이 점점 보이기 시작한다.
500mm의 단초점 망원경으로 목성을 관측했다. 장초점이 아니라서 시원하게 확대되진 않았지만 3.7mm 접안렌즈를 사용해서 150배까지 관측에 성공. 목성이 영롱한 구슬처럼 보였다. 안시 관측시 색상 구분이 힘들다는 말이 있지만 내 눈에 목성이 다채롭게 보였다. 갈색줄과 흰색줄도 잘 구분돼 보였다. 목성의 위성들도 잘 보인다. 목성의 중력으로 묶여있는 4개의 위성들. 다른 사람들에게도 보여주고 싶은 광경이다. 관측을 멈추고 사진기를 꺼내 촬영을 시작했다. 사진으로 보는 목성은 눈으로 볼 때보다 훨씬 크긴 하다. 하지만 그 영롱함과 감동은 담지 못한다.

이번엔 바로우 렌즈를 꼽고 촬영을 해본다. 2배 바로우 렌즈. 망원경의 초점거리를 늘려 대상을 더 확대해서 볼 수 있게 해준다. 싸구려라 그런지 색수차가 심해지긴 했지만 큼지막한 상이 시원하긴 하다. 목성의 대적점이 나름 뚜렷하게 보인다.


일시: 2019년 5월 8일 (월령 18.1%)
장소: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경통: Skywatcher Esprit 100
센서: ZWO ASI290MC
가대: iOptron iEQ45 Pro
노출: 100 * 0.01s, Gain 110
보정: RegiStax, Photoshop
'Astronomy > Gall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101, 바람개비(Pinwheel) 은하 (0) | 2020.02.09 |
---|---|
단노출 노터치 촬영된 M42 오리온 성운 (0) | 2020.02.01 |
양곡사에서 담아온 플레이아데스(좀생이별) (0) | 2020.01.19 |
광해 속에 담은 페르세우스 이중 성단, NGC869 NGC884 (1) | 2020.01.15 |
[원본이미지 포함] M13 허큘리스 구상성단 (3) | 2020.01.13 |